본문

서브메뉴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고영근 저.
내용보기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30317900 93700 : \70,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 요약문언어 - eng , 요약문언어 - ger
DDC  
411.5-22
청구기호  
411.5 ㄱ337ㅇ
저자명  
고영근((高永根)) , 1936-
서명/저자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 고영근 저.
원서명  
[기타표제]언어문화는 반드시 통합되어야 한다
발행사항  
서울 : 집문당, 2018.
형태사항  
xiii,933 p. : 삽화 ; 26 cm.
주기사항  
설명적 각주 수록
주기사항  
2019년도 대한민국 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주기사항  
대한민국 학술원 기증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및 참고논저(p. 823-883)와 색인(p. 886-932) 수록
기금정보  
한국연구재단 저술연구비 (2013~2016)로 저술되었음(과제번호: 2013S1A6A4014447)
일반주제명  
한국어 문법
가격  
기증\70000
Control Number  
bwcl:113629
책소개  
우리말 문법, 그 총체적 모습
이 책은 서울 중심의 현대 표준 공통어의 문법 현상을 주축으로 하되 문헌어 및 방언의 문법 현상과 통합하는 총체 서술의 방법을 취하였다. 이 과정에서 공통 구어는 물론, 평양 중심의 북한의 문화어와 재외 교민의 우리말의 문법 현상도 통합하는 태도를 취하였다. 방언에는 구비 설화의 문법 현상도 포함하였다. 이곳의 재외 교민이라 함은 주로 중국의 동북 삼성 및 옛 소련 지역의 연해주와 카자흐 등 중앙 아시아의 교민들을 가리킨다. 다시 말하면 통속적으로는 “우리말”로 대표되는 “전 민족어”의 문법을 대상으로 하되 이웃 언어나 기타 외국어와 비교하는 유형론적 관점을 바닥에 깔았다. 문법 체계는 문법의 가장 핵심 부문인 형태부와 형태통사부는 물론, 자소부 및 음성부와 통보화용부를 문법 체계 안에 통합 (統合, integration)하였다. 본인이 이러한 문법 체계를 세우기까지는 원칙적으로 독일어 사용 지역에서 발전한 문법 이론, 이를테면 자소론, 자연성 이론, 결합가 이론, 텍스트 이론, 언어 유형론을 바닥에 깔았다. 이렇게 우리말 문법의 제 현상을 위에서 언급한 문법 체계의 틀 속에 통합·서술한 결과, 시간과 공간 (계층과 상황도 포함)에 따른 변이 양상도 한 그릇에 담을 수 있었고 우리말 문법의 유형적 특징도 선명히 드러낼 수 있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56166 학술  411.5 ㄱ337ㅇ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56167 학술  411.5 ㄱ337ㅇ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