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가례와 한국의 예학
가례와 한국의 예학 / 노인숙 지음
내용보기
가례와 한국의 예학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86853788 93150 : \3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DDC  
181.152-23
청구기호  
392 ㄴ274ㄱ
저자명  
노인숙
서명/저자  
가례와 한국의 예학 / 노인숙 지음
원서명  
[기타표제]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발행사항  
서울 : 문사철, 2020
형태사항  
786 p. ; 23cm
주기사항  
부록: 중국의 가훈과 한국 예학자의 가계(p. 565-763)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p. 765-778)과 찾아보기(p. 779-786) 수록
입수처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주제명-개인  
朱熹 , 1130-1200
일반주제명  
주자가례
일반주제명  
예학
기타저자  
주희 , 1130-1200
가격  
\35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18098
책소개  
이 책의 주제는 남송의 주희(1130-1200)가 편찬한 『주자가례』와 그에 토대를 두고 전개된 조선의 예학이다. 선조들의 전통적 삶의 양식 속에 담긴 유학적 가치관과 그 문화적 의미를 드러내고자 한 것이다. 가례와 한국예학은 저자 노인숙 교수의 37년 대학 강단 생활과 연구 일생에서의 일관된 화두였다.

유가사상에서 공자가 상고문화의 집대성자라면 주희는 근고문화의 집대성자라고 할 수 있다. 그만큼 주희가 중국과 동아시아에 미친 영향은 지대하다. 『가례』는 인간의 품격 있는 삶의 도리가 부부로부터 출발하여 가정 속에서 완성된다는 전통적 가치관을 토대로, 주희의 이상이 반영된 가정의례준칙이다. 주희는 『가례』에서 새로운 시대정신에 맞추어 관혼상제에 있어 사인(士人)과 서인(庶人)의 차등을 없애는 통합적 의례를 제시하였다. 그리고 새로운 의미의 종법(宗法)으로 가족 내에 유교 공동체를 수립하고자 하였다. 유학을 특정계층의 학문에서 만인의 삶의 양식으로 만든 것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1195 학술  392 ㄴ274ㄱ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1196 학술  392 ㄴ274ㄱ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