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 = Karl Barth : 현대 신학과 교회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  = Karl Barth  : 현대 신학과 교회 / 정승훈 지음
내용보기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 = Karl Barth : 현대 신학과 교회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64475850 93230 : \20000
DDC  
231-23
청구기호  
230.044 ㅈ258ㅋ
서명/저자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 = Karl Barth : 현대 신학과 교회 / 정승훈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동연, 2020
형태사항  
453 p. ; 23 cm
주기사항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서지주기  
참고문헌 수록
주제명-개인  
Barth, Karl , 1886-1968
일반주제명  
삼위 일체론[三位一體論]
일반주제명  
기독교 신학[基督敎神學]
일반주제명  
기독교 교리[基督敎敎理]
기타저자  
정승훈 , 1958-
가격  
20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19114
책소개  
칼 바르트와 삼위일체 해설을 펴내면서…

칼 바르트(Karl Barth, 1886~1968년)는 한국 보수 기독교 신학(신정통주의) 이론의 모태라고 할 수 있다. 특히 칸트 철학의 인식론적 전환 이후 종교와 신의 자리가 어디 있나를 고민하던 종교인들에게 신 인식의 면에서 기독교적인 대안을 제시한 인물로서 추앙되기도 한다. 즉, 칸트 철학은 신이 인식 불가능한 영역에 있다는 인식론적 불가지론을 선언하였던 바, 바르트는 그렇기에 유한한 인간의 존재는 이를 수 없으니 초월적 신의 은총(강림)으로 인간에게 인식할 수 있도록 한다(계시)는 새로운 유신론을 전개하였던 것이다. 이로서 기독교 정통주의는 칸트 이후 그 체계가 무기력해졌으나 바르트를 위시한 신정통주의라는 대항마로 인해 현대 철학과 각을 세우며 기독교 신학을 정립할 수 있었다.
그러나 한국교회나 한국 신학계에서는 불행히도 나치 독일의 광풍에 대항하여 폴 틸리히와 함께 기독교사회주의 운동을 전개했던 칼 바르트의 신학을 취사선택적으로만 이해할 뿐 그 사상 전체를 제대로 파악하지 못하고 있다고 한다. 다들 바르트 신학을 알고 있는 것처럼 말하지만 단순히 칸트를 비롯한 현대 인식론 철학의 신의 ‘사망선고’를 대항하는 대안으로서의 논리 이외에는 이렇다 할 바르트 이해가 없는 것이 한국의 현실이라고 한다.
이런 시기에 바르트 전공자가 쓴 바르트의 이론을 체계적으로 정리한 책을 출간하는 것은 의미가 있을 것이다. 특히 기독교가 세 아브라함 종교들 중 여타의 종교들(유대교와 이슬람 종교)과 가장 극명한 차이가 있는 ‘삼위일체론’에 대해 서술한 이 책은 바르트 신학의 정수를 보여주기에 부족함이 없을 소재라 할 수 있다. 이로부터 한국 신학의 성숙한 토대 정립과 바르트 신학의 너른 이해가 확산되기를 기대한다.

이 책에서 다루는 주제는…

바르트의 교의학을 이끌어가는 동력은 성서 주석과 더불어 교리사 전통에서 나타나는 풍부한 교리에 대한 해석학에 있다. 바르트는 성서와 기독교 전통의 교리에 천착하면서 자신의 신학을 동시대적으로 발전시킨다. 이런 점에서 바르트의 『교회교의학』은 게르하르트 에벨링이 말한 것처럼, 해석학적인 통찰을 자체 안에 담고 있다. 여기서 시도하는 칼 바르트의 삼위일체 신학 해설은 단순히 바르트의 신학을 기계적으로 설명하기보다는 현대 신학의 논쟁을 포함하고, 이러한 논쟁을 통해 새로운 신학의 전망과 교회의 새로운 방향을 열어놓는다.
칼 바르트가 한국에서 새롭게 확대되는 추세에 ‘말씀의 신학’에 이어 ‘삼위일체론’을 해설하는 책을 펴냈다. 이 책에서 다룬 삼위일체론은 하나님의 말씀론에 근거하며, 철저한 성서 주석을 바탕으로 작성했다. 바르트의 교의학에 대해서 오해하는 사람들이 많고, 현대 신학에서 종종 비판의 대상이 되는데 그중 억측과 무리한 비판도 있다. 이 책은 바르트 말씀의 신학과 삼위일체론 그리고 신론과 종말론을 제대로 연관 지어 파악하여 그 오해와 무리한 비판을 해소하는 측면으로 쓰게 되었다.
교의학과 계시의 상관관계, 삼위일체에 대한 칼 바르트의 해석, 페리코레시스와 점유이론을 통한 성부 하나님의 이해, 동정녀 탄생의 교리와 가부장제에 대한 비판, 성령과 구원을 사회적 책임과 함께 생각, 천년왕국에 대한 문자 그대로가 아닌 삼위일체와 연관한 이해, 칼뱅의 예정론, 막스 베버의 자본주의 정신, 웨슬리의 신학 등을 칼 바르트와 그의 삼위일체 해설 등과 연관하여 서로 이해할 수 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3742 230.044 ㅈ258ㅋ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3743 230.044 ㅈ258ㅋ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중 대출중
반납예정일 2024-07-17 예약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