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 강지은 지음  ; 이혜인 옮김
コンテンツ情報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56121923 93140 : \250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원저작언어 - jpn
DDC  
951.9-23
청구기호  
181.15 ㄱ268ㅅ
저자명  
강지은 , 1970- , 姜知恩
서명/저자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 / 강지은 지음 ; 이혜인 옮김
원서명  
[원표제]朝鮮儒學史の再定位 : 十七世紀東アジアから考える
발행사항  
서울 : 푸른역사, 2021
형태사항  
386 p. ; 23 cm
총서명  
푸른역사 학술총서 ; 17
주기사항  
본서는 "朝鮮儒學史の再定位 : 十七世紀東アジアから考える. 2017."의 번역서임
주기사항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서지주기  
색인 수록
일반주제명  
조선 시대
일반주제명  
유학유교
일반주제명  
사상사
키워드  
조선 유학사
기타저자  
이혜인 , 李惠仁
가격  
\25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19253
책소개  
동아시아로 시야를 넓혀
17세기 조선 유학사를 새로 쓰다

조선 유학사에 대한 통설에 질문을 던지다

저자 강지은(국립대만대학 국가발전대학원 부교수)은 고려대학교에서 한문학을 전공하면서 조선시대 지식인의 저작을 두루 읽었다. 특히 17세기 저작들과 그에 관한 연구서들을 폭넓게 접하면서 17세기 지식인들이 처했던 상황과 거기에서 탄생한 그들의 사상에 대해 새롭게 분석할 필요성을 절감했다. 이에 일본 도쿄대학에서 공부한 후 타이완으로 건너가 타이완대학에서 연구를 거듭하면서 조선시대 지식인에 대한 새로운 정의를 내놓고 있다.

《새로 쓰는 17세기 조선 유학사朝鮮儒儒學史の再定位-十七世紀東アジアから考える》는 그러한 연구의 결과물이다. 저자는 20세기 초반 두드러졌던 17세기 조선 유학사에 대한 통설을 재검토하여 ‘조선 유학사란 어떤 것이었는가?’라는 질문에 답하고자 한다. 통설에 의하면, 17세기 조선에서는 일본과 중국의 연이은 침입으로 인한, 건국 이래 최대의 위기 상황 속에서 사상사적 전환이 이루어졌다고 한다. 주자학에 대한 비판의식으로써 새로운 경서 해석을 집필하여, 엄격한 사상 통제의 억압 속에서 주자학에 반기를 드는 움직임이 시작되었다는 것이다.

17세기 조선 유학사를 ‘주자학에 대한 정밀한 연구 및 이에 동반하는 주자학 교조화’와 ‘주자학에 대한 회의 및 비판의식의 시작’이라는 두 개의 대립적인 축으로 바라본 이 같은 관점은 식민지 시대 이래 한국의 상황과 맞물려 점차 강화된다. 조선왕조의 체제교학體制敎學(국가의 학문)이었던 주자학과 유학자가 망국의 위기를 초래한 주범으로 간주되었고, 주자학의 경서 해석에 부분적으로 이의를 제기했던 17세기 몇몇 유학자의 견해는 ‘조선 후기 실학파’의 탄생으로 이어지는, ‘근대의식의 맹아’라는 위상을 부여받는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詳細情報

  • 予約
  • ない存在
  • 私のフォルダ
資料
登録番号 請求記号 場所 ステータス 情報を貸す
EM0163473 181.15 ㄱ268ㅅ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3474 181.15 ㄱ268ㅅ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ご予約は、借入帳でご利用いただけます。予約をするには、予約ボタンをクリックしてください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