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 : 미완의 근대성과 포스트콜로니얼 이론
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  : 미완의 근대성과 포스트콜로니얼 이론 / 정승훈
내용보기
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 : 미완의 근대성과 포스트콜로니얼 이론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64476543 94200 : \25000
ISBN  
9788964476536(세트)
DDC  
261.1-21
청구기호  
261 ㅈ258ㄱ
서명/저자  
공공신학과 학제적 소통이론 : 미완의 근대성과 포스트콜로니얼 이론 / 정승훈
발행사항  
서울 : 동연, 2021
형태사항  
655 p. ; 23cm
총서명  
공공신학과 정의론 ; 1
주기사항  
2021 세종도서 학술부문
주기사항  
색인 : p. 653-655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633-651
일반주제명  
기독교[基督敎]
일반주제명  
신학[神學]
키워드  
공공신학 기독교사회신학
기타저자  
정승훈
가격  
\25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19374
책소개  
공공신학을 사회과학, 자연과학으로 지평을 넓히는 책

흔히 공공신학을 미국의 독특한 정치 문화신학이라고 말한다. 그런가 하면 유럽에서는 정치신학의 중요한 분과로 파악하기도 한다. 그러나 공공신학은 정치적 영역에만 국한되지 않는다. 사회, 문화, 교육, 생명과학, 비교종교 더 나아가 인종, 성, 젠더 등 광범위한 이슈들에 관심을 둔다.

이런 측면에서 이 책에서 말하는 공공신학은 방법론적으로는 사회학, 해석학적인 윤곽을 가진다. 내용으로는 서구 근대의 정치와 도덕 이론, 민주주의, 정의론을 다룬다. 일차적으로 공공신학을 정치철학과 사회과학으로 발전시키고, 학제적 소통이론으로 규정하여 논리를 전개하는 책이다. 서구 근대의 도덕 정치이론을 검토하는 것은 대한민국의 사법적 민주주의 정치 제도의 현주소를 학문이론으로 검토하고 자리매김하는 데 도움을 준다. 더 나아가 시민사회 운동에 이론적으로 도움이 될 수 있다.

사실 신학 앞에 붙은 수식어나 형용사는 현란하기 짝이 없다. 그러나 ‘공공’이라는 수식어가 붙을 경우, 그것은 신학의 방향과 특징, 사회 윤리적 전략을 담고 있다. 공공신학은 성서 주석, 교회사, 조직신학 등 신학의 많은 분과와 분리되지 않는다. 그러나 공공신학이 이러한 신학의 분과들로부터 구분되는 것은 공공영역을 파악하고 분석하는 데 있어서 사회계층의 현실과 포스트콜로니얼의 상황을 진지하게 취급하는 데 있다.

다양한 철학자의 철학과 사회과학, 자연과학을 가지고 공공신학을 하나하나 풀어낸다. 신학자의 입장이지만, 신학과 관련이 전혀 없어 보이는 학문으로도 공공신학을 결합하여 설명했다는 것에 의의가 있는 책이다. 저자는 헤겔과 칸트, 밀의 공리주의에서 시작해서 리바이어던과 공화제, 군주론, 라인홀드 니부어까지 우리가 잘 들어봤으면서도 확실하게 알지 못하는 학자들의 이론과 담론을 가지고 말한다. 공공신학을 단순히 신학의 한 학문이 아닌 여러 철학으로도 설명이 되고, 더 나아가 인종, 성 문제 혹은 사회적, 정치적인 문제와 갈등을 해소할 수 있는 열쇠로 제시하는 책이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3240 261 ㅈ258ㄱ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3241 261 ㅈ258ㄱ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