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성찰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성찰 / 김민재 지음
내용보기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성찰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58523619 93370 : \22000
DDC  
375.17-23
청구기호  
181.102 ㄱ637ㅎ
서명/저자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성찰 / 김민재 지음
원서명  
[대등표제]Introspection on the korean confucianism in moral education
발행사항  
서울 : 글로벌콘텐츠, 2022
형태사항  
424 p. ; 23 cm
주기사항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p. 402-422) 수록
입수처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일반주제명  
도덕 교육
일반주제명  
한국 유학
기타저자  
김민재
가격  
\22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20366
책소개  
한국윤리사상에 대해 성찰하며
학교 도덕교육의 맥락을 되짚다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성찰』은 동양·한국윤리사상을 학교 도덕교육과 긴밀하게 연결시켜 재해석하고, 이를 통해 실제 도덕 수업에서 활용 가능한 구체적인 방안들을 함께 제시하는 책이다. 서원 교육의 이념과 실제가 지니는 현대적 시사점에 대해 알아보고, 율곡 이이 사상의 교과서 내 기술 방식의 변화에 대해서도 살핀다. 명재 윤증의 ‘내중외경’과 ‘항상됨’의 교육론, 순암 안정복의 청렴관과 도덕교육, 혜강 최한기의 기학과 평화교육 등을 소개하고, 한국성리학을 대표하는 퇴계 이황 및 한국양명학을 상징하는 하곡 정제두, 백암 박은식, 위당 정인보 등의 사상을 학교 도덕교육의 시각에서 심층적으로 분석하고 있다.

책은 저자의 2015년에서부터 2021년까지 개별 논문들에 기초해, 크게 세 개의 대주제와 추가적인 보론으로 구성되어 있다. 먼저 제1부에서는 한국성리학과 실학을 거시적으로는 교육의 전체 측면에서, 미시적으로는 학교 도덕교육의 맥락에서 성찰한다. 다음으로 제2부에서는 『성학십도(聖學十圖)』와 『고경중마방(古鏡重磨方)』 같은 퇴계 이황의 주요 저술들 및 그의 경(敬) 개념을 학교 도덕교육과 인성교육의 관점에서 탐색하고자 하였다. 이어서 제3부에서는 인물을 중심으로 하여, 도덕심과 양지(良知)를 주축으로 하는 한국유학사의 또 하나의 흐름을 교육철학과 교육방법론, 학교 도덕교육의 시각으로 고찰하고자 하였다. 마지막의 보론에서는 급변하는 사회에서 결코 간과해서는 안 되는 유교적 가치를 어떻게 선정해 교수·학습할 수 있을 것인가에 대한 고민을 담았으며, 이에 더해 한국유학의 반작용으로 등장해 현재까지도 철학적이고 종교적인 시사점을 제시하고 있는 동학을 도덕교육적으로 살펴본다.

이 책은 저자가 2014년에 발간한 『한국유학의 도덕교육적 변용』과도 연결된다. 윤리사상을 교육적으로 풀이하는 연구들은, 연구자의 의도와는 달리 그 특성상 이론과 실제의 연속성이 부족한 경우들이 더러 있다. 그럼에도 윤리사상을 현대적으로, 그리고 교육적으로 재해석하는 작업들은 꾸준히 이루어져야만 하고, 그 선상에서 이론과 실제의 간극을 어떻게 좁힐 수 있을지 끊임없이 고민해야 한다. 이러한 고민을 담은 저자의 결과물을 읽어나가면서, 학교 도덕교육과 한국윤리사상을 어떻게 하면 심도 있게 접목시킬 수 있을지 함께 고민해 보길 바란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5484 학술  181.102 ㄱ637ㅎ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