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의 여신들 : 페미니즘의 신화적 근원
한국의 여신들 : 페미니즘의 신화적 근원 / 김화경 지음
Contents Info
한국의 여신들 : 페미니즘의 신화적 근원
Material Type  
 동서단행본
 
0015912183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21202115037
ISBN  
9791155504826 93810 : \30,000
Language Code  
본문언어 - kor
DDC  
291.130951-23
Callnumber  
202.114 ㄱ983ㅎ
Author  
김화경
Title/Author  
한국의 여신들 : 페미니즘의 신화적 근원 / 김화경 지음
Original Title  
[기타표제]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Publish Info  
서울 : 성균관대학교출판부, 2021 (2022(2쇄))
Material Info  
482 p : 삽화 ; 21cm
총서명  
知의회랑 ; 019
General Note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서지주기  
주(p. 408-452), 참고문헌(p. 453-470) 및 색인(p. 471-481)수록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한국 여신신화[韓國女神神話]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페미니즘[Feminism]
Price Info  
\30,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20470
책소개  
“영원히 여성적인 것이 우리를 이끌어 올리도다”
비로소 제 모습을 드러내는 한국 여신신화의 문화사회학

가부장제가 성립되기 이전에
여성들이 모든 것을 주도하는
사회가 존재했다는 사실은 분명하다

유화부인, 자청비, 바리공주(바리데기), 마고할미, 설문대할망... 이 여신들의 이름이 지금껏 우리에게 전해진다는 건 실로 대단한 일이다. 일찍이 유학(儒學)에 바탕을 둔 합리적 사유가 지배하던 한국 사회에서 여성 중심 신화의 문헌 정착이 쉽지 않았던 탓이다. 이는 간난고초의 세월을 보내던 우리네 어머니와 할머니들 사이에서 이어져온 여신신화가 한국 여성의 끈질긴 생명력을 반영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긴 시간 우리 신화 연구에 매진해온 저자는 이 책에서 다양한 경로로 전승되어온 여신신화들을 대상으로 삼아, 이 여신들의 원형(archetype)은 과연 누구였으며, 그에 대한 신앙이 한국 사회에서는 어떠한 형태로 전개되어왔는지 추적해나간다. 저자의 통찰 아래 재설정된 여러 여신의 유형 및 범주들-지모신(地母神), 창세의 여신, 성모신(聖母神), 농경 관련 여신, 사랑과 갈등의 여신, 이계(異界)의 여신, 제의 속 여신 등-과 그 연구방법론들-기능주의, 상호해명법, 문화사적 방법론 등-은 한국 여신신화에 대한 객관적이고 총체적인 재구성을 모색한다.
이 책을 통해 한국의 여신신화는 단지 가부장제에 의해 변형ㆍ변개되어서만 존재하는 부차적 서사가 아니라는 사실이 선명해진다. 어쩌면 우리는 외연에 의탁할 필요 없는, 한국의 페미니즘을 길어 올릴 신화적 근원들과 만나게 될지도 모른다. 성균관대학교출판부 학술기획총서 ‘知의회랑’의 열아홉 번째 책.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0165373 학술  202.114 ㄱ983ㅎ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5374 학술  202.114 ㄱ983ㅎ c.2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