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 / 신다은 지음
Sommaire Infos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60405798 03300
DDC  
331.257-23
청구기호  
331.257 ㅅ565ㅇ
저자명  
신다은
서명/저자  
오늘도 2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 / 신다은 지음
발행사항  
서울 : 한겨레, 2023
형태사항  
303 p. : 삽도 ; 21 cm
주기사항  
부록: "어이없는 죽음이 전쟁터처럼 만들어진다": 김미숙 씨 의견서(김용균 씨 사고), '남편, 살아만 있어 줘'…이루어지지 않은 부탁: 김영희 씨 의견서(정순규 씨 사고)
서지주기  
주석(p. 299-303)과 찾아보기(이 책에 언급된 산재사건)(p. 298) 수록
기금정보  
이 책은 관훈클럽정신영기금의 도움을 받아 저술 출판되었음
기타서명  
오늘도 두명이 퇴근하지 못했다
가격  
\18500
Control Number  
bwcl:121760
책소개  
일터의 이름 없는 죽음들에 대한 뒤늦은 애도

‘산재가 왜 계속 일어나는 겁니까?’
누가 묻는다면 앞으로는 이 책을 내밀겠다._은유(르포 작가)

하루에 두 명이 일터에서 돌아오지 못한다. 매일같이 누군가 끼여서 죽고, 떨어져 죽고, 불에 타 죽고, 질식해 죽고, 감전돼 죽는다. 그렇게 매년 800여 명이 일하다가 사고로 목숨을 잃지만, 많은 사고가 공장 담을 넘지 못하고 은폐된다. 기껏 알려진 사고들도 대개 몇 줄짜리 단신 보도에 그쳐 사고의 근본 원인을 전하는 데 실패한다. ‘왜 이렇게 많은 사람이 일터에서 죽는가’ ‘왜 이 죽음들이 이토록 당연한 일이 됐는가’라는 질문의 답은 공백으로 남겨져 있다.
이 책은 이런 질문들에 대한 답이다. 《한겨레》 기자로 크고 작은 재난 현장을 취재하던 저자는 노동 분야를 맡으면서 일터에서도 매일 재난이 일어난다는 사실을 깨닫고, 누구도 일하다가 죽지 않는 세상을 만드는 데 작은 보탬이 되기를 바라는 마음으로 이 책을 썼다. 그는 김용균, 이선호, 구의역 김군, 김다운 등 대표적인 사고들을 통해 ‘일터의 죽음’을 낳는 구조적 원인을 분석하고, 대안을 모색한다.
이 죽음들을 깊이 들여다보는 일은 곧 떠난 이들을 함께 애도하는 일이다. 그래서 이 책은 “일하다가 무참히 죽는 사람에 관한 기사를 더는 받아쓰고 싶지 않은 한 기자가 뒤늦게 마감한 긴 부고”(르포 작가 은유)이자 반복되는 죽음들을 무심히 넘기지 않으려는 이들에게 제안하는 “일터의 죽음을 사회적 기억으로 만드는 법”이기도 하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
Matériel
Reg No. Call No. emplacement Status Lend Info
EM0167866 331.257 ㅅ565ㅇ 신착도서 (1층)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7867 331.257 ㅅ565ㅇ c.2 신착도서 (1층)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Les réservations sont disponibles dans le livre d'emprunt. Pour faire des réservations, S'il vous plaît cliquer sur le bouton de réservati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