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푸른 환영 : 이서진 장편소설
푸른 환영 : 이서진 장편소설 / 이서진 저
내용보기
푸른 환영 : 이서진 장편소설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91192828299 03810
DDC  
895.735-23
청구기호  
811.32 ㅇ735푸
저자명  
이서진
서명/저자  
푸른 환영 : 이서진 장편소설 / 이서진 저
발행사항  
서울 : 도화, 2023
형태사항  
262 p. ; 20 cm
기금정보  
이 책은 강원특별자치도와 강원문화재단 후원으로 발간되었음
가격  
\13000
Control Number  
bwcl:122676
책소개  
이 소설은
소설 『푸른 환영』은 이서진 작가의 신작 장편소설로 문장의 균형감각과 조화가 창작의 교과서적인 면모를 보여주면서도, 현실 저 너머의 몽상적이고 환상적인 세계를 향한 자유로운 상상력을 발현하고 있다. 작품을 완독하고 나면 푸른 장미 문신을 한 여자가 아득한 환영처럼 머릿속을 맴돈다.
소설을 써보겠다고 기존의 일상을 뛰쳐나온 주인공 도영의 현실을, 작가는 유려하고 세심한 문장을 통해 인물의 모습과 상황을 손에 잡힐 듯이 전달하고 있다. 이처럼 문장의 장인이 펼쳐 놓은 이야기를 따라가다 보면 도영이 절감하는 일상적인 현실과 갈망하는 꿈 사이의 거리감이 저절로 체득된다. 절실한 염원을 가지면서도 최소한의 밥벌이에 시달리는 도영이 대면한, 앞날의 불투명한 불안감은 작품을 읽어 본 독자라면 누구나 공감할 수 있기 때문이다. 특히 정제되고 신중하게 선택된 문장들이 독자들의 마음속 열망을 적확하게 건드리고 있어, 누구나 공감할 수밖에 없는 일상의 요원한 꿈을 선명하게 전달한다.
소설에서 도영과 상반되는 인물이 여자인데, 주제적인 측면에서 도영의 대위법적 존재다. 두 사람의 관계는 지극히 비현실적이다. 서로 이름조차 모르고 도영은 여자의 얼굴도 뚜렷하게 기억하지 못한다. 그저 뒷모습, 그것도 목덜미의 푸른 장미 문양이 기억에 남을 뿐이다. 도영의 남루한 분위기와 달리 여자는 세련되고 우아한 분위기다. 도영이 일상의 누추한 생활의 냄새를 묻히고 살아간다면, 여자는 그와는 다소 거리가 먼 비현실적인 세계에서 살아가는 모호한 신비스러운 느낌이다. 소설은 이 같은 두 인물의 상반된 특징인 현실과 비현실, 일상과 꿈 사이의 절묘한 긴장을 유지하면서, 상실과 결여의 상처라는 공통점을 중심으로 작품을 이끌고 있다.
『푸른 환영』에서 여자를 가장 상징적으로 보여주는 것은 목덜미에 있는 푸른 장미 문양이다. 푸른 장미의 꽃말은 기적, 환상, 포기하지 않는 사랑이다. 갈망하는 꿈의 환상을 찾아 떠나온 도영 앞에 그 같은 환영의 육화로 여자가 나타난 것이다. 두 사람은 주로 전화 통화를 통해 만나는데 말하는 주체는 대체로 여자이며 듣는 쪽은 도영이다.
여러 겹의 물결 같은 은유 가득한 여자의 목소리가 전하는, 불우한 이야기에 도영은 깊이 공감하며 이입된다. 도영 역시 그 못지않은 불행한 가족사를 지니고 있기 때문이다. 소설은 그런 여자의 이야기와 도영의 이야기를 교차하면서 서사를 이어간다. 그 과정에서 조화로운 선율의 절묘한 화합을 끌어내는 공감대를 형성하고 있어, 독자들은 두 사람의 사연에 깊이 빠져들 수 있다.
도영은 여자의 말을 듣게 되면서 지지부진하던 글쓰기를 그제야 생생히 이어간다. 그 행위는 여자를 향한 공감이 깊어지는 것이기도 하지만 자신을 향한 성찰이기도 하다. 그 과정에서 자신의 가족사를 돌이켜 보며 오랫동안 내면 깊숙이 묻어두었던 아버지와 어머니를 떠올린다. 무엇보다 가족에게 지울 길 없는 상처와 피해를 주고 떠난 어머니를 더는 외면하지 않는다. 그것을 글로 옮기면서 그간 자신이 지닌 상실과 결여를 뒤늦게 직시한다. 자신 속에 잠재되어 있던 버거운 무게로 인해 무언가를 절박하게 갈망하고 있었다는 걸 비로소 깨닫는다. 그것이 결국 글을 쓰겠다는 열망의 바탕이라는 사실을 알아가게 되는 것이다.
결말에서 여자는 도영에게 파미르고원으로 가는 길에 만난 어떤 존재들에 관해 이야기한다. 무겁게 덮어씌운 무언가를 버리기 위한 수행의 길을 가면서도, 일상생활에 필요한 많은 짐이 실린 수레를 또 힘들게 끌고 가는 노정이 우리 삶의 모습이 아닐까, 라는 암시를 남긴다. 그 암시는 현생의 시간, 우주 속의 한낱 미약한 존재로 살아가는 모두에게 건네는 강렬한 화두이기도 하다.
그리고 여자는 “지금은 전화를 받을 수 없습니다”라는 말 저편으로 사라진다. 도영은 더는 여자의 목소리를 들을 수 없게 되면서 깊은 상실의 좌절을 안는다. 현실인 듯 비현실인 듯 경계의 혼돈에서 아슬한 생의 조각 조각으로 흔들린다. 그러면서도 여전히 짙은 안개 속 어딘가에 켜졌을 희미한 불빛을 찾고자 한다. 그런 도영의 앞길이 어떻게 펼쳐질 것인가라는 질문이 독자들 앞에 놓여있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68942 811.32 ㅇ735푸 신착도서 (1층)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68943 811.32 ㅇ735푸 c.2 신착도서 (1층)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