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브메뉴
검색
한·불 번역에서의 속격 명사구
한·불 번역에서의 속격 명사구
- 자료유형
- 동서단행본
- ISBN
- 9791162445570 : \24000
- DDC
- 401.802-21
- 청구기호
- 401.802 ㄱ883ㅎ
- 저자명
- 김지은
- 서명/저자
- 한·불 번역에서의 속격 명사구 / 김지은 지음
- 원서명
- [기타표제]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 발행사항
- 서울 : 역락, 2020
- 형태사항
- 294 p. : 삽화 ; 24 cm
- 주기사항
- 2021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임
- 서지주기
- 참고문헌(p. 283-290), 찾아보기(p. 291-294) 수록
- 입수처
-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 가격
- 24000-기증
- Control Number
- bwcl:117837
- 책소개
-
이 책은 한국어의 속격 명사구 ‘N1의 N2’ 및 ‘그의 bpN(신체부위명사)’과 프랑스어로 번역된 그 대응어를 대조 분석함과 동시에 그것들의 불역을 지배하는 출발어(곧 한국어) 쪽의 언어학적 요인은 무엇인지를 기술하는 번역언어학 차원의 연구이다. 이를 위해서 우리는 한국어 원문 텍스트와 그 불역 텍스트 간의 등가성을 전제로 하는 코퍼스기반 번역학의 입장에서 접근하고 있다. 우리는 두 가지 방법으로 한국어-프랑스어 간 번역 병렬 코퍼스를 수집했다. 하나는 ‘N1의 N2’의 속격 명사구가 어떻게 불역되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코퍼스로 한국어 원문 소설과 그 불역 소설 간에 수집한 병렬 코퍼스이고, 다른 하나는 ‘그의 bpN(신체부위명사)’의 속격 명사구가 어떻게 불역되는지를 관찰하기 위한 코퍼스로 불한사전에서 동사들이 갖는 어휘 내항에서 수집한 병렬 코퍼스이다.
한국어 속격 조사 {의}로 연결되는 속격 명사구 ‘N1의 N2’의 불역 문제에 대한 우리의 연구 대상은 크게 두 가지이다. 첫째는 {의}의 전후 두 명사가 모두 명사 어휘로 구성된 속격 명사구 ‘N1의 N2’의 불역 문제이다. 둘째는 N1이 ‘나, 너, 그’ 등과 같은 인칭대명사이고, N2가 신체부위명사(body parts Noun, bpN으로 약칭)인 ‘그의 bpN’의 불역 문제이다. 이에 책은 다음과 같이 구성된다. 서론의 1장에 이어 2장에서는 속격 명사구 ‘N1의 N2’를 구성하는 두 명사가 만들어 내는 의미 결합 관계의 유형을 파악하기 위해 국어 명사를 의미-통사적 특성에 따라 계층적으로 분류하고, ‘N1의 N2’이 구성할 수 있는 가능한 결합의 유형과 그 실례를 제시한다. 3장에서는 ‘N1의 N2’을 구성하는 두 명사의 의미 관계를 다섯 가지 큰 유형(1. N1이 N2의 주체인 경우, 2. N1이 N2의 공간적 지주인 경우, 3. N1이 N2의 객체인 경우, 4. N1이 N2의 존재 양식의 표지인 경우, 5. N2가 N1의 술어 명사인 경우)으로 나누고 이들 큰 유형의 세부 속격형(곧 ‘N1의’)들이 프랑스어에서는 어떤 언어적 형식으로 번역되는지를 기술한다. 4장에서는 속격 명사구 ‘N1의 N2’를 구성하는 두 명사(곧 N1, N2)가 프랑스어에서 정관사와 부정관사 중 어느 관사를 수반하여 불역되는지를 알아본다. 5장에서는 속격 명사구 ‘그의 bpN’의 ‘그의’가 ‘부분적’ 여격 lui(곧 luiP)나 소유 형용사 Son으로 불역되게끔 하는 통사-의미적 환경은 무엇인지를 주제성 정도의 개념으로 접근한다.
이렇듯, 이 연구의 궁극적인 목적은 ‘N1의 N2’와 ‘그의 bpN’이라는 한국어의 속격 명사구와 그 불역 대응어를 수집한 코퍼스를 중심으로 대조 기술함과 동시에, 그러한 불역을 지배하는 번역언어학적 원리(곧 불역을 위한 어휘-문법적 규칙)는 무엇인지를 구명하는 것이다.
Info Détail de la recherche.
- Réservation
- n'existe pas
- My Folde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