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한국학력·학벌사회론 :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한국학력·학벌사회론  :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 김부태 지음
Contents Info
한국학력·학벌사회론 :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Material Type  
 동서단행본
 
0016153265
Date and Time of Latest Transaction  
20220513131406
ISBN  
9788971805794 93370 : \27000
DDC  
379.519-23
Callnumber  
306.43 ㄱ663ㅎ
Title/Author  
한국학력·학벌사회론 : 절반의 공정성을 넘어 / 김부태 지음
Original Title  
[기타표제]한국 민주화 시대의 정부는 학력·학벌주의에 어떻게 대응해 왔는가
Publish Info  
대구 : 경북대학교출판부, 2022
Material Info  
538 p. : 삽화 ; 24 cm
General Note  
2022년도 대한민국학술원 선정 교육부 우수학술도서
서지주기  
참고문헌과 색인 수록
 
대한민국학술원 기증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한국 교육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교육 정책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학벌 주의
Subject Added Entry-Topical Term  
학력 주의
Index Term-Uncontrolled  
학벌 학벌사회 학벌주의
Added Entry-Personal Name  
김부태
Price Info  
\27000-기증
Control Number  
bwcl:120362
책소개  
이 책은 민주화 시대를 거치면서 한국사회의 학력·학벌주의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밝히고 그 완화·해소를 위한 정책적 대안을 모색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학력·학벌사회는 학력과 학벌이 주요 사회구성 지표가 되는 사회이다. 학력·학벌주의는 바로 이 학력·학벌사회를 정당화하는 사회적 신념체계이다. 학력·학벌주의는 정당하고 공정한가? 학력·학벌주의는 불완전한 사회구성 지표로서의 학력·학벌을 능력으로 인정하고, 능력주의에 기대어 사회적 불평등과 차별을 정당화하는 ‘절반의 공정성’을 가진 이데올로기이다. 학력·학벌사회는 학력·학벌주의가 사회와 교육의 모순을 야기하는 비민주적인 사회이다. 민주화는 좀 더 자유롭고, 좀 더 평등하며, 좀 더 정의로워지는 사회변화를 의미한다. 필자는 민주화 시대의 정부들이 학력·학벌주의 문제에 어떻게 대응했는지, 민주화 시대를 통해 학력·학벌주의가 어떻게 변화되었는지를 고찰하였다. 한국사회의 학력·학벌주의는 매우 느리게 점진적으로 완화되어 왔지만, 아직도 건재하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Detail Info.

  • Reservation
  • Not Exist
  • My Folder
Material
Reg No. Call No. Location Status Lend Info
EM0165489 학술  306.43 ㄱ663ㅎ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Reservations are available in the borrowing book. To make reservations, Please click the reservation button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