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우리나라 전통 무늬. . 3 : 나전ㆍ화각 = Korean traditional pattern. 3,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oodenware adhered with painted ox-horn sheet
우리나라 전통 무늬.  3 나전ㆍ화각 Korean traditional pattern. 3, Lacquerware inlaid with m...
내용보기
우리나라 전통 무늬. . 3 : 나전ㆍ화각 = Korean traditional pattern. 3,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oodenware adhered with painted ox-horn sheet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90620392(v.3) 93910
ISBN  
9788990620194(세트)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DDC  
745.40951-22
청구기호  
745.40951 ㄱ427ㅇ
단체저자  
국립문화재연구소.
서명/저자  
우리나라 전통 무늬. 3 나전ㆍ화각 Korean traditional pattern. 3, Lacquerware inlaid with mother-of-pearl, woodenware adhered with painted ox-horn sheet 국립문화재연구소 편
발행사항  
서울 : 눌와, 2009
형태사항  
519p : 색채삽도 ; 29cm
총서명  
우리나라 전통 무늬 ; 3
주기사항  
부록 : '1. 용어 설명, 2. 소장처 목록' 수록.
서지주기  
참고문헌 : p. 516-517.
키워드  
전통무늬 나전 화각
기타서명  
나전 화각
가격  
\90000
Control Number  
bwcl:72400
책소개  
우리나라 전통 무늬시리즈의 나전·화각 편이다. 조개껍질과 소뿔을 얇게 갈아 붙이는 나전.화각 공예는 세계적으로 그 유례가 적고, 우리나라에서 크게 발달한 독자적인 공예 기법이다. 특히 고려시대 나전 공예의 정교함은 높게 평가받아 고려청자와 함께 고려를 대표하는 주요 교역품으로 자리 잡기도 했다.



나전과 화각은 나무 바탕에 재질이 다른 장식 재료를 붙여 아름답게 꾸민다는 공통점이 있는데, 제작 과정 자체가 무늬를 시문施文하는 방법이기 때문에 무늬를 통해 당시 사회의 일면과 시대상을 보여준다. 이 책에 수록된 무늬는 나전.화각 공예품에 표현된 대표적인 무늬 110점을 가려 뽑은 것이다. 특히 이 가운데 개인소장 유물 3점은 처음 공개된다.



책의 구성은 크게 개관, 유물 편, 그리고 무늬 활용 편으로 나누었다. 유물 편에는 유물의 기형이 드러난 사진과 여러 측면에서 본 유물의 무늬 사진을 실었다. 유물 뒷면이나 안쪽에 숨겨진 무늬를 찾아보는 재미도 있다. 무늬 활용 편에는 각각 무늬를 재해석하여 만든 무늬 일러스트를 실어 무늬의 형태와 구성을 가늠해볼 수 있도록 하였다. 또한 무늬들을 조합해 패턴화하여 현대에 활용할 수 있도록 하였다.
신착도서 더보기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소장정보

  • 예약
  • 서가에 없는 책 신고
  • 나의폴더
소장자료
등록번호 청구기호 소장처 대출가능여부 대출정보
EM0109681 745.40951 ㄱ427ㅇ v.3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EM0109682 745.40951 ㄱ427ㅇ v.3 c.2 보존서고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대출중인 자료에 한하여 예약이 가능합니다. 예약을 원하시면 예약버튼을 클릭하십시오.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관련도서

관련 인기도서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