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서브메뉴

북한의 개혁·개방과 인권 : 후기 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과 사회통제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
북한의 개혁·개방과 인권  : 후기 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과 사회통제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 /...
Contents Info
북한의 개혁·개방과 인권 : 후기 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과 사회통제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
자료유형  
 동서단행본
ISBN  
9788992803076 93300
언어부호  
본문언어 - kor
DDC  
320.95193-22
청구기호  
320.95193 ㅎ176ㅂ
저자명  
허만호
서명/저자  
북한의 개혁·개방과 인권 : 후기 공산사회에서의 정치변동과 사회통제에 대한 비교론적 접근 / 허만호 지음
발행사항  
서울 : 명인문화사, 2008
형태사항  
xi, 457 p ; 23cm
주기사항  
찾아보기: p. 449-455
주기사항  
부록: 1. 북한의 주요 국제인권조약 가입현황, 2. 북한의 강제수용소 분포도, 3. 당의 유일사상체계 확립의 10대 원칙. 외.
서지주기  
참고문헌: p. [433]-448
서지주기  
서지적 각주 수록
기금정보  
본서는 경북대학교의 「2006년도 저술장려연구비」로 지난 10년간의 연구와 활동을 정리한 것임.
키워드  
북한 북한정치
가격  
기증\24000
Control Number  
bwcl:72565
책소개  
북한 인권의 상황과 모습을 사실적으로 담있디/ 중국과 베트남이 탈 스탈린주의 단계 혹은, 탈 전체주의단계에서 개혁.개방정책을 취하면서 보여준 인권정책의 지속성과 다양성을 통해 북한도 개혁.개방정책을 취하여 현재의 경제위기를 극복하면 인권상황이 나아질 것인가에 대한 답을 구한다.



국제사회에서 지적한 다양한 북한의 인권현안들을 조사하고, 다자간대화를 통해 해결하는데 어떤 장애와 적실성이 있는가를 검토해 봄으로써 아시아에서 지역 혹은 하위지역 차원의 인권보호체계를 수립할 수 있는 가능성도 모색한다.



현재의 북한 인권상황은 보편적 가치와 인도주의적 관점에서도 당연히 개선되어야 하지만, 한반도에 항속적인 평화를 보장하고 북한을 통일의 동반자로 변모시키기 위해서도 개선되어야 하며, 이를 위해 헬싱키 프로세스와 같은 지속적.제도적 외부개입이 필요하다.
New Books MORE
최근 3년간 통계입니다.

פרט מידע

  • הזמנה
  • לא קיים
  • התיקיה שלי
גשמי
Reg No. Call No. מיקום מצב להשאיל מידע
EM0146855 320.95193 ㅎ176ㅂ 자료대출실 (개가제) 대출가능 대출가능
마이폴더 부재도서신고

* הזמנות זמינים בספר ההשאלה. כדי להזמין, נא לחץ על כפתור ההזמנה

해당 도서를 다른 이용자가 함께 대출한 도서

Related books

Related Popular Books

도서위치

QuickMenu