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누리미디어(DBpia)

네이버 지식인
No 제목 / 내용
1 황구연 구연설화의 문화적 의미 고찰
권기호, / 59 / 2019. 6. 30 / 55-75 (21 pages) / 동북아시아문화학회 / 동북아 문화연구
2 韩汉语预期性标记“기껏해야”与“大不了”的对比研究
单清丛, / 62 / 2023. 3. 31 / 153-180 (28 pages) / 동아인문학회 / 동아인문학
3 고구마 · 감자의 접촉과 어휘사
황금연, / 86 / 2021. 6. 30 / 137-177 (41 pages) / 중앙어문학회 / 어문론집
4 {두껍다/얇다}와 {厚/薄}의 다의 구조 대조 연구 : 한국어와 중국어의 대응관계를 중심으로
민잉란, 정둥메이, / 45 / 2017. 12. 31 / 291-316 (26 pages) / 가천대학교 아시아문화연구소 / 아시아문화연구
5 韓 · 中 · 日 고전문학 속에 보이는 여성과 출가(出家)
이경미, / 34 / 2016. 3. 31 / 95-127 (33 pages) / 동아인문학회 / 동아인문학
6 '연행록'연구사에 대한 통시적 고찰 : 중국에서의 '연행록'연구를 중심으로
金柄珉, / 29 / 2014. 12. 31 / 387-422 (36 pages) / 동아인문학회 / 동아인문학
7 지역표상으로서 아리랑의 위상과 무대화된 진정성의 재인식
조정현, / 30 / 2015. 2. 28 / 161-186 (26 pages) / 안동대학교 민속학연구소 / 민속연구
8 현대국어 가치 한정 접미사 '-어치/-아치'(價) 형성의 역사성 복원에 대한 시도 -재분석과 절단을 통한 단어형성의 일면을 중심으로-
최전승, / 9 / 2022. 8. 31 / 109-208 (100 pages) / 국어사연구회 / 한국어사 연구
9 뱀' 형과 '바얌>뱜' 형의 두 갈래 변화' target='_blank'>VjV의 축약에 대하여 : '바얌>뱀' 형과 '바얌>뱜' 형의 두 갈래 변화
뱀' 형과 '바얌>뱜' 형의 두 갈래 변화' target='_blank'>고광모, / 55 / 2009. 12. 30 / 129-168 (40 pages) / 사단법인 한국언어학회 / 언어학
10 중국에서의 조선어연구 현황과 전망
김광수, 리영실, / 2011(1) / 2011. 1. 22 / 10-17 (8 pages) / 길림성민족사무위원회 / 중국조선어문

QuickMenu